마르스 7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스 7호는 1973년 소련의 라보슈킨 설계국에서 제작된 화성 탐사선으로, 1973년 8월 9일에 발사되었다. 화성 6호에 이어 화성 연구를 위해 다양한 장비를 탑재했으며, 착륙선과 운반선으로 구성되었다. 착륙선에는 표면 및 대기 연구를 위한 장비가, 운반선에는 자기장, 플라즈마, 우주선 및 미소 운석, 태양풍 등을 연구하는 장비가 실렸다. 1974년 3월 9일 착륙선이 분리되었으나, 장비 고장으로 인해 화성 대기 진입에 실패하고 1300km 상공을 지나쳐 임무가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소련 - 루노호트 2호
루노호트 2호는 1973년 루나 21호에 의해 달에 보내진 소비에트 연방의 두 번째 무인 달 탐사 로버로, 르 모니에 분화구에서 약 4개월간 활동하며 37km(후에 42km로 수정됨)를 이동하고 다양한 과학적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했으며, 현재도 월면 레이저 거리 측정 실험을 통해 탐지되고 있다. - 1973년 소련 - 197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7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는 소련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로, 대한민국이 건국 이후 처음으로 참가하여 동메달 2개를 획득했으며, 북한은 이에 항의하여 불참했고, 소련이 종합 메달 순위 1위를 차지했다. - 마르스 계획 - 마르스 2호
마르스 2호는 1971년 소련에서 발사된 화성 탐사선으로, 궤도선은 화성 표면과 대기를 관측하고 착륙선과의 통신을 중계할 예정이었으나 먼지 폭풍으로 표면 매핑에 어려움을 겪었고, 착륙선은 화성 표면에 연착륙하여 토양 특성을 측정하고 소형 로버를 전개할 계획이었으나 대기권 진입 중 시스템 오작동으로 파괴되었다. - 마르스 계획 - 마르스 6호
마르스 6호는 소련의 화성 탐사선으로, 화성 표면 연구 장비를 탑재한 착륙선과 운반선으로 구성되었으나, 착륙 직전 통신 두절로 임무를 완수하지 못했다. - 1973년 발사한 우주선 - 스카이랩
스카이랩은 NASA의 최초 우주 정거장으로, 1973년 발사되어 1974년까지 유인 임무를 수행하며 다양한 과학 실험을 진행했고, 1979년 대기권 재진입 후 파편이 호주에 낙하했다. - 1973년 발사한 우주선 - 파이어니어 11호
파이어니어 11호는 태양계 외곽 탐사를 위해 1973년 발사된 미국의 무인 우주 탐사선으로, 목성과 토성의 대기 및 자기장 등을 연구하고 고해상도 이미지를 촬영하며, 특히 토성 고리의 구조와 구성을 밝히고 외계 지적 생명체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담은 금속판이 부착되었다.
마르스 7호 | |
---|---|
기본 정보 | |
임무 유형 | 화성 근접 통과/착륙 |
운영 기관 | 소비에트 연방 우주 프로그램 |
SATCAT (운반선) | 6776 |
SATCAT (착륙선) | 7224 |
임무 기간 | 1973년 8월 9일 - 1974년 3월 25일 |
우주선 | 3MP No.51P |
제작사 | NPO 라보치킨 |
발사일 | 1973년 8월 9일 17:00:17 UTC |
발사 로켓 | 프로톤-K/D |
발사 장소 |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81/24 |
발사 계약자 | 흐루니체프 |
마지막 교신 | 1974년 3월 25일 |
궤도 기준 | 태양 중심 |
궤도 원점 | 태양 근일점 |
행성간 비행 (버스) | |
유형 | 근접 통과 |
목표 천체 | 화성 |
도착일 | 1974년 3월 9일 |
행성간 비행 (착륙선) | |
유형 | 착륙선 근접 통과 |
목표 천체 | 화성 |
도착일 | 1974년 3월 9일 |
프로그램 | |
프로그램 | 화성 프로그램 |
이전 임무 | 마르스 6호 |
관련 이미지 | |
![]() |
2. 우주선 구조
마르스 7호는 라보슈킨이 1973년 화성용으로 제조한 3MP 탐사선으로, 마르스 6호에 이어 두 번째로 발사되었다. 마르스 7호는 화성 표면과 대기를 연구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를 탑재했다.
구분 | 상세 설명 |
---|---|
착륙선 | 지표면 상태(온도, 기압), 하강 과정(가속도, 고도), 지표면 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장비(질량 분석기 등) 탑재. |
운반선 (버스) | 자력계, 플라스마 트랩, 우주선 및 미소 운석 감지기, 스테레오 안테나, 태양 방출 양성자 및 전자 플럭스 연구 장비 탑재. |
2. 1. 착륙선
마르스 7호 착륙선에는 표면 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파노라마형 원격 광도계, 대기 상태 파악을 위한 온도계, 기압계, 밀도 측정기, 풍향 감지기, 가속계, 대기 성분 분석을 위한 질량 분석계, 레이다 고도계, 표면 성분 감지계 등이 장착되어 있었다.[2][5] 또한 지표면 상태 측정을 위한 온도계와 기압계, 하강을 위한 가속도계 및 전파 고도계, 지표면 물질 분석을 위한 장비( 질량 분석계 포함)도 포함되었다.2. 2. 운반선
화성 7호 우주선은 화성을 연구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를 탑재했다. 순항 단계의 운반선에는 자력계, 플라즈마 트랩, 우주선 및 미소 운석 감지기, 스테레오 안테나, 그리고 태양에서 방출되는 양성자와 전자 플럭스를 연구하는 장비가 실려 있었다. 화성을 촬영하기 위한 원격 광도계, 상부 대기권에서 수소를 찾기 위한 라이먼 알파 센서, 태양풍과 화성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이온 측정기 및 플라스마 감지기, 우주선 감지기, 미소 운석 감지기도 탑재되어 있었다.[5][2]라보치킨에서 제작된 화성 7호는 1973년에 화성으로 발사된 3MP 우주선 중 두 번째였다.
3. 임무 개요
마르스 7호는 1973년 8월 9일 협정 세계시 17시 00분 17초에 프로톤-K 로켓에 실려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81/24 발사장에서 발사되었다.[3] 로켓의 1~3단은 총 3260 kg의 우주선 본체와 우주선을 화성으로 보내기 위한 로켓 추진부를 지구 주차 궤도로 성공적으로 진입시켰고, 화성으로 가기 위해 사용된 로켓 추진단 또한 성공적으로 점화되었다. 우주선은 8월 16일 중간 궤도 수정을 거쳤다.[5][2]
마르스 7호의 착륙선은 1974년 3월 9일 운반선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처음에는 분리에 실패하는 듯 했지만, 결국 분리되어 하강 절차를 시작했다. 하지만 장비 고장(역추진 로켓 또는 고도 조정장치 중 하나)으로 인하여 탐사선은 화성의 대기에 진입하지 못했고, 화성 표면 1300km 지점을 스쳐 지나갔다.[5] 그 후 운반선과 착륙선 둘 모두는 현재까지 태양 주회 궤도에 남아 있다.[2]
4. 임무 실패
마르스 7호의 착륙선은 1974년 3월 9일 운반선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처음에는 분리에 실패하는 듯 했지만, 결국 분리되어 하강 절차를 시작했다. 하지만 장비 고장(역추진 로켓 또는 고도 조정장치 중 하나)으로 인하여 탐사선은 화성의 대기에 진입하지 못했고, 화성 표면 1300km 지점을 스쳐 지나갔다.[5] 그 후 운반선과 착륙선 모두 현재까지 태양 주회 궤도에 남아 있다.[2] 화성 4호와 마찬가지로 우주선의 트랜지스터 결함이 실패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참조
[1]
웹인용
Interplanetary Probes
http://space.skyrock[...]
2013-04-12
[2]
웹인용
Mars 7
http://nssdc.gsfc.na[...]
US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re
2013-04-12
[3]
웹인용
Launch Log
http://planet4589.or[...]
2013-04-12
[4]
웨이백
Космические аппараты серии М-73
http://www.laspace.r[...]
2015-07-23
[5]
서적
Deep Space Chronicle: A Chronology of Deep Space and Planetary Probes 1958-2000
http://history.nasa.[...]
NASA History Offi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